돈암서원에 있는 현판 글씨는 단순히 의미 전달의 수단이라는 문자의 원래의 뜻을 넘어 문자에 유연함, 동세, 여백 등 조형미가 있다.
참가자들은 현판, 꽃담 글씨를 직접 써봄으로써 현판의 깊은 의미를 알 수 있다.
전통적인 필기도구 붓을 통하여 글씨를 쓸 때 힘의 강약과 표현의 자유로움을 알 수 있으며, 돈암서원 현판 글씨의 미학을 향유 할 수 있다.
차시 | 주제 | 내용 |
---|---|---|
1 | 붓글씨의 이해 | 붓을 잡는 법 익히기. |
2 | 먹물의 농도와 붓글씨 | |
3 | 붓으로 쓰는 나만의 글씨체 | |
4 | 현판, 꽃담, 주련 등 서원의 글씨를 알아본다. | |
5 | 캘리그라피 표현의 특성 알아보기 | 양성당과 주련 써보기 |
6 | 캘리그라피로 써보기 | |
7 | 응도당과 주련 써보기 | |
8 | 캘리그라피로 써보기 | |
9 | 돈암서원 현판, 꽃담의 추상성과 회화성 | |
10 | 돈암서원 현판, 꽃담 표현의 적합성 | |
11 | 건물서체를 활용한 캘리그라피 실습 | 돈암서원 현판의 의미와 서체를 활용한 캘리그라피 |
12 | 꽃담 중 지부해함의 의미와 서체를 활용한 캘리그라피 | |
13 | 꽃담 중 박문약례의 의미와 서체를 활용한 캘리그라피 | |
14 | 꽃담 중 서일화풍의 의미와 서체를 활용한 캘리그라피 | |
15 | 정회당 현한의 서체를 활용한 캘리그라피 | |
16 | 성과물 제작 및 전시준비 |